2025년 현재, 정부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운영 중인 두 대표적인 금융상품이 있습니다.
바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인데요.
비슷한 듯 다른 이 두 제도, 어떤 점이 다르고 나에게 더 유리한 상품은 무엇인지 꼼꼼히 비교해보겠습니다.
📌 청년도약계좌란?
- 도입 시기: 2023년 6월 출시
- 주요 특징: 매달 일정 금액 저축 시,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추가지원
- 총 수령액: 최대 5천만 원 (5년 만기 기준)
- 공식 사이트: 금융감독원 청년도약계좌 안내
✅ 가입 조건
- 만 19~34세
- 근로/사업소득 6,000만 원 이하
-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
✅ 지원 내용
- 매달 40만~70만 원 납입 가능
- 정부 지원금 월 최대 2만6천 원 + 이자 혜택
- 장기 복리효과로 5년간 최대 5천만 원까지 수령
📌 청년희망적금이란?
- 도입 시기: 2022년 출시
- 주요 특징: 은행 이자 + 정부 장려금이 함께 제공되는 고금리 적금
- 총 수령액: 최대 1,000만 원대 예상
- 공식 사이트: 청년희망적금 안내
✅ 가입 조건
- 만 19~34세
- 개인 소득 3,600만 원 이하
- 근로소득자 또는 사업소득자
✅ 지원 내용
- 매달 최대 50만 원까지 적금 가능
- 1~2년 만기로 은행 이자 + 정부 장려금(최대 36만 원)
- 단기 자산 형성에 유리
📊 두 상품 비교 표
항목 | 청년도약계좌 | 청년희망적금 |
---|---|---|
가입 가능 연령 | 19~34세 | 19~34세 |
소득 조건 | 6,000만 원 이하 + 가구소득 기준 | 3,600만 원 이하 (개인) |
납입 한도 | 월 40~70만 원 | 월 50만 원 |
지원 방식 | 정부 추가 적립금 + 이자 | 이자 + 정부 장려금(최대 36만 원) |
만기 기간 | 5년 | 1~2년 |
총 수령 가능 금액 | 최대 5천만 원 | 약 1천만 원 내외 |
💡 어떤 제도가 나에게 맞을까?
청년도약계좌가 유리한 경우
- 장기적으로 큰 목돈을 모으고 싶은 청년
- 가구소득이 낮고 정부 지원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조건
- 근로/사업소득이 있는 청년
청년희망적금이 유리한 경우
- 단기 저축을 원하거나 1~2년 안에 목돈이 필요한 경우
- 소득이 3,600만 원 이하로 청년희망적금에만 해당하는 경우
- 초보 금융 소비자 – 간단한 구조로 시작하기 좋음
✅ 함께 가입 가능할까?
안타깝게도 두 상품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합니다.
하나만 선택해야 하며, 정부 정책에 따라 해당 연도 접수가 마감되기도 하니 반드시 공식사이트를 통해 신청 일정 확인을 해주세요.
📝 마무리
2025년을 살아가는 청년이라면 정부 금융 상품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두 상품 모두 장점이 뚜렷하지만, 자신의 상황과 목표에 따라 맞춤 선택이 필요하죠.
👉 장기 목돈이 목표라면 청년도약계좌,
👉 단기 목돈을 빠르게 만들고 싶다면 청년희망적금이 정답입니다.
본인의 자격 조건을 확인하고,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!
📢 다음 글 예고
👉 “2025년 청년 주택지원 정책 총정리 – 전세 vs 월세 혜택 비교!”
다음 글도 기다려주세요.